국가보훈부 유엔참전용사 디지털 아카이브

인터뷰

인터뷰 아카이브

유엔참전용사 Nicholas Mararac 구술

[1회차]

영상 로딩중 입니다.

자막

1 00:00:05,106 --> 00:00:07,181 제 이름은 니콜라스 매러랙입니다 2 00:00:07,205 --> 00:00:12,730 워싱턴 D.C.에서 태어났고 생년월일은 1983년 7월 7일이죠 3 00:00:12,930 --> 00:00:19,521 부모님과 저는 사실 필리핀계 미국인 입니다 4 00:00:19,545 --> 00:00:26,081 부모님께서는 1970년대에 미국으로 이주하셔서 저는 워싱턴 외곽에서 자랐습니다 5 00:00:26,105 --> 00:00:27,779 그러시군요, 감사합니다 6 00:00:27,803 --> 00:00:33,103 군 입대 하실 때 쯤에 학교는 어떻게 하셨나요? 7 00:00:33,127 --> 00:00:36,050 교육 과정은 어디까지 밟으셨나요? 8 00:00:36,074 --> 00:00:40,216 저는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가톨릭 학교에 다녔어요 9 00:00:43,036 --> 00:00:49,547 고등학교 졸업 후에 미국 해군 학교에 입학했고 10 00:00:49,571 --> 00:00:53,619 그렇게 해군 장교로 미 해군에 들어간 거죠 11 00:00:53,643 --> 00:00:56,718 저는 수상전 장교로 근무했습니다 12 00:00:56,899 --> 00:00:58,121 네, 알겠습니다 13 00:00:58,145 --> 00:01:01,501 그럼 이제 선생님의 군 생활에 대해 얘기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4 00:01:01,525 --> 00:01:04,820 한국 생활을 중심으로 얘기를 해볼 건데요 15 00:01:04,844 --> 00:01:08,590 실질적으로 한국에 대한 것만은 아니지만 16 00:01:08,614 --> 00:01:13,469 언제 자원 입대하셨고 한국에는 언제 가신 건가요? 17 00:01:13,608 --> 00:01:17,999 해군 학교를 졸업하자마자 2007년에 임명됐죠 18 00:01:18,023 --> 00:01:22,306 자원 입대와는 다른데요 19 00:01:22,330 --> 00:01:30,524 군에 자원 입대하는 경우 신병 훈련이나 주입식 교육 등 입대할 복무 부대에 대한 교육을 받죠 20 00:01:30,548 --> 00:01:37,933 장교들의 경우, 적어도 학사 학위나 전문대 졸업 이상이어야 합니다 21 00:01:37,957 --> 00:01:42,076 그래서 저는 2007년에 졸업했고 그렇게 임관 장교가 된거죠 22 00:01:42,100 --> 00:01:43,079 그렇군요 23 00:01:43,103 --> 00:01:48,794 어디에서 어떤 기초 군사 훈련을 받으셨나요? 24 00:01:48,818 --> 00:01:53,335 저의 기초 군사 훈련은 해군 학교에서 시작됐죠 25 00:01:53,359 --> 00:01:58,953 교과 과정 시작 전에 자체 교육이 있죠 26 00:01:58,977 --> 00:02:06,781 그리고 정말 지속적인 군사 훈련이 있어요 27 00:02:06,805 --> 00:02:12,721 대학 과정과 통합되어 있어 실제로 수업 내용은 28 00:02:12,745 --> 00:02:15,919 향후 군사 작전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죠 29 00:02:15,943 --> 00:02:19,694 예를 들자면, 저 같은 경우 수상전 장교로서 30 00:02:19,718 --> 00:02:23,665 즉 주로 함선에서 근무를 하며 31 00:02:23,689 --> 00:02:30,505 미 해군의 부대 지원을 제공하는 거죠 32 00:02:30,529 --> 00:02:33,441 대학교에서 항해술 과정을 이수했고 33 00:02:33,465 --> 00:02:37,077 그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타 수업들을 들었어요 34 00:02:37,101 --> 00:02:39,526 그럼 아직 해군 소속이신 건가요? 35 00:02:39,550 --> 00:02:45,150 아니요, 은퇴했어요 2014년 4월 건강 문제로 은퇴했죠 36 00:02:45,174 --> 00:02:45,853 그러시군요 37 00:02:45,877 --> 00:02:50,859 그럼 은퇴 직전 계급은 어떻게 되셨나요? 38 00:02:50,883 --> 00:02:54,352 저는 해군 대위였습니다 39 00:02:54,376 --> 00:02:55,725 네, 감사합니다 40 00:02:55,749 --> 00:02:57,037 이제 한국에 대해 얘기해 보도록 하죠 41 00:02:57,061 --> 00:03:05,285 그럼 다시 한국에는 언제 가신 거고 가셨던 곳은 어디였나요? 42 00:03:05,309 --> 00:03:13,884 2011년 처음으로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국방 언어 학교에 갔었죠 43 00:03:14,542 --> 00:03:17,647 - 어디에 있는 건가요? - 캘리포니아주의 몬터레이에 있습니다 44 00:03:17,671 --> 00:03:23,957 샌프란시스코에서 남쪽으로 한 95 내지 105마일 정도 될 거에요 45 00:03:26,510 --> 00:03:31,132 그 학교에서는 언어 뿐만 아니라 문화도 가르치죠 46 00:03:31,156 --> 00:03:38,997 그리고 나서 서울로 갔고 유엔군 사령부에서 근무했고 용산에 있었어요 47 00:03:39,021 --> 00:03:42,079 네, 그럼 한국에는 언제 도착하셨나요? 48 00:03:42,103 --> 00:03:44,239 2011년 가을에 도착했습니다 49 00:03:45,457 --> 00:03:48,020 한국에서 임무는요? 50 00:03:48,198 --> 00:03:58,765 유엔 사령부와 군 무기 조달 위원회에서 중립국 감독 위원회의 연락 장교로 근무했습니다 51 00:03:58,789 --> 00:04:03,731 중립국 감독 위원회 또는 NNSC라고 하는데 52 00:04:03,864 --> 00:04:07,950 오늘날 3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죠 53 00:04:07,974 --> 00:04:11,005 스위스, 스웨덴 그리고 폴란드 입니다 54 00:04:11,029 --> 00:04:18,146 하지만 1953년에서는 무기 조달 합의서에 서명하고 55 00:04:18,170 --> 00:04:25,730 NNSC가 설립될 당시 원래는 남한, 스위스, 스웨덴이었고 56 00:04:25,754 --> 00:04:29,257 북한에는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가 있었죠 57 00:04:29,632 --> 00:04:33,418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나뉠 때 58 00:04:33,442 --> 00:04:38,967 북한은 그들을 무기 조달 협정에서 세워진 동일한 나라인 줄 모르고 59 00:04:38,991 --> 00:04:46,241 그들을 본래 제외시켰고 결국 폴란드도 제외시켰죠 60 00:04:46,265 --> 00:04:51,079 그리고 오늘날 여전히 NNSC는 남한에 있으면서 61 00:04:51,103 --> 00:04:58,777 비무장 지대와 공동 경비 구역에는 스위스와 스웨덴 기지가 있어요 62 00:04:58,801 --> 00:05:00,188 그렇군요 63 00:05:00,334 --> 00:05:03,202 연락 장교로서 저의 임무는 64 00:05:03,226 --> 00:05:14,160 병사들이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걸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거였죠 65 00:05:14,184 --> 00:05:21,295 무기 조달 합의에 배정되면서 그 협정에 기재된 모든 규정이 지켜지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겁니다 66 00:05:21,588 --> 00:05:27,323 잘 지켜지고 있는지, 미국이 하는 것에 대해 그리고 67 00:05:27,348 --> 00:05:34,397 한국 내 다른 국가들이 하는 것이 합법적인지 중립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거죠 68 00:05:34,421 --> 00:05:35,690 알겠습니다 69 00:05:35,714 --> 00:05:37,192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70 00:05:37,216 --> 00:05:39,912 이제 한국에서의 경험에 대해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71 00:05:39,936 --> 00:05:47,335 국방 언어 학교에서 한국어와 문화 교육을 접했다고 하셨는데요 72 00:05:47,359 --> 00:05:54,876 그럼 한국 문화 또는 한국 자체에 대해 이미 알고 있으며 많이 알고 있었다는 건가요? 73 00:05:54,900 --> 00:05:59,414 한국으로 파병되기 전에 얼마나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시나요? 74 00:06:00,153 --> 00:06:03,550 한국으로 가기 전에 75 00:06:05,336 --> 00:06:09,581 주어진 언어 훈련을 다 이수하진 못했어요 76 00:06:09,605 --> 00:06:18,170 얼마 있다가 제가 가야할 일이 있었거든요 77 00:06:21,123 --> 00:06:25,223 제가 알고 있는 문화는 배운 거에 지극히 한정되어 있었죠 78 00:06:25,247 --> 00:06:31,382 대학에서 국제 사회를 전공했거든요 79 00:06:31,406 --> 00:06:35,496 그래서 6·25전쟁에 대해 토론도 했고 80 00:06:35,520 --> 00:06:41,341 국방 언어 학교에서는 언어 수업에서 배우는 것 등을 배우고 81 00:06:41,365 --> 00:06:44,789 음식이나 전통 문화 같은 것을 배웠지만 82 00:06:44,813 --> 00:06:49,530 사실 지금 제가 알고 있는 만큼 배우진 못했어요 83 00:06:49,554 --> 00:06:54,635 SCSU에서 한국 현대 문화 수업을 듣기 전까지는요 84 00:06:54,659 --> 00:06:55,570 그러시군요 85 00:06:55,594 --> 00:07:00,375 6·25전쟁과 6·25전쟁 참전용사에 대해서는요? 86 00:07:00,399 --> 00:07:02,710 역시 조금밖에 모르시나요? 87 00:07:03,211 --> 00:07:07,448 그것도 대학에서 배운 거에 한정되어 있었는데요 88 00:07:07,472 --> 00:07:12,687 대부분 제가 가장 관심을 둔 부분이 동남아시아 정치였거든요 89 00:07:12,711 --> 00:07:19,401 하지만 무엇보다 제가 SCSU에서 배운 만큼은 아니었어요 90 00:07:19,431 --> 00:07:21,287 네, 알겠습니다 91 00:07:21,311 --> 00:07:28,145 이제 한국에 도착하셨을 때 첫인상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92 00:07:28,169 --> 00:07:30,805 그리고 생활 환경은 어떠셨나요? 93 00:07:31,255 --> 00:07:35,243 사실 처음 한국에 온 건 거기로 이동하기 전이었어요 94 00:07:35,267 --> 00:07:39,595 한 번은 일본에 주둔했었는데 95 00:07:39,619 --> 00:07:46,954 서울로 1주일간 여행을 가기로 결심했죠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이라서요 96 00:07:46,978 --> 00:07:51,042 그래서 실제 기초 언어를 파악했죠 97 00:07:51,066 --> 00:07:57,959 예를 들어 한국어로 씌어 있는 글자들은 실제 한글이 아니니까요 98 00:07:57,983 --> 00:08:05,006 그리고 단어 발음이나 말하는 것 그리고 지명이 꽤 어렵다는 걸 알았죠 99 00:08:06,765 --> 00:08:12,276 하지만 한국으로 파병됐을 때에는 한국어를 기본적인 것 정도는 알았고 적어도 읽을 수는 있어서 100 00:08:12,300 --> 00:08:18,486 회의 하러 혼자 다니는 건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았어요 101 00:08:18,510 --> 00:08:24,006 한국인과 소통하는 건 재밌었고 즐거웠던 것 같아요 102 00:08:24,031 --> 00:08:26,993 한국에 있는 동안 가급적 많이 배우는 걸 좋아했죠 103 00:08:27,493 --> 00:08:29,948 그럼 생활 조건은 어떠셨나요? 104 00:08:29,972 --> 00:08:32,534 봉급은 얼마나 받으셨나요? 105 00:08:34,013 --> 00:08:39,440 저는 삼각지 내에 고층 아파트에서 27층에 살았죠 106 00:08:39,464 --> 00:08:44,009 용산이랑 이태원 근처였죠 107 00:08:44,034 --> 00:08:46,792 걸어서 한 반 마일 정도 걸린 것 같네요 108 00:08:46,816 --> 00:08:50,818 꽤 좋은 아파트에서 살았죠 좋은 곳이었어요 109 00:08:51,944 --> 00:08:55,523 봉급도 꽤 괜찮게 받았죠 정말 안락한 생활을 했었죠 110 00:08:57,265 --> 00:09:02,730 네, 그럼 한국 군인들과는 어떻게 지내셨나요? 111 00:09:04,218 --> 00:09:09,610 사실 한국인들과 상당히 긴밀하게 협업을 했죠 112 00:09:09,634 --> 00:09:15,243 그녀는 한국군 대위였는데 소령으로 진급했었죠 113 00:09:15,267 --> 00:09:26,320 대한민국 육군 정보장교였던 그녀와 정말 친했고 업무적으로 잘 맞았죠 114 00:09:26,631 --> 00:09:33,819 실제로 그녀 말고 가장 좋아했던 건 배우는 건 아니었지만 115 00:09:35,900 --> 00:09:39,658 등산 여행 같은 거였죠 116 00:09:39,683 --> 00:09:44,372 동료들과 같이 하는 것으로서 정말 재밌었던 것 같아요 117 00:09:44,396 --> 00:09:53,047 정말 좋은 유대 경험을 하는 것으로 한국 육군 병사들만이 아니라 118 00:09:53,071 --> 00:09:56,412 우리가 거기에서 하고 있는 일에 소속된 다른 국가 병사들과 함께 유대관계를 맺는 거죠 119 00:09:56,437 --> 00:10:00,417 왜냐하면 우리 모두 함께 와서 같이 등산을 하고 나중에 술도 많이 마셨거든요 120 00:10:00,441 --> 00:10:01,774 그렇군요 121 00:10:01,798 --> 00:10:07,762 기지 밖에서 사회활동을 많이 하신 것 같네요 122 00:10:07,786 --> 00:10:11,353 맞아요 그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123 00:10:12,163 --> 00:10:18,834 임무 중에 가장 어렵거나 위험했던 순간이 있으셨나요? 124 00:10:18,859 --> 00:10:21,575 부상을 당할 뻔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125 00:10:21,920 --> 00:10:25,147 한국에서 근무하면서 부상을 당한 적은 없어요 126 00:10:25,645 --> 00:10:28,584 실제로 위험을 느낀 적도 없죠 127 00:10:28,608 --> 00:10:37,792 제가 일하던 사무실 때문에 저는 계속 비무장지대에 있었죠 128 00:10:37,816 --> 00:10:42,698 특히 공동경비구역(JSA)에 있었죠 129 00:10:42,785 --> 00:10:48,569 혼자 산책을 할 수 있었는데 130 00:10:48,814 --> 00:10:51,171 그게 좀 웃겨요 131 00:10:51,195 --> 00:10:55,693 거기에서는 근무 시 특수 무기 밴드를 착용해야 해요 132 00:10:55,718 --> 00:10:59,379 무슨 임무를 맡고 있는지 무장 상태인지 아닌지를 알리는 거죠 133 00:10:59,644 --> 00:11:03,284 그래서 비무장 지대에서 실제 근무하는 병사들은 134 00:11:03,308 --> 00:11:07,755 검은색 무기 밴드를 착용해요 135 00:11:08,715 --> 00:11:11,826 그건 그곳의 경비부대 종류를 나타내는 거였을 겁니다 136 00:11:11,850 --> 00:11:16,364 저는 비무장 지대에서 일하고 있을 때 노란색 무기 밴드를 착용했어요 137 00:11:16,388 --> 00:11:23,171 비무장 상태지만 군복무 적합성 요건에 맞게 아직 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죠 138 00:11:23,908 --> 00:11:31,293 우린 교육, 그러니까 거기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비무장지대를 상당히 많이 다녔거든요 139 00:11:31,317 --> 00:11:34,787 거기에서 우리가 하는 일은 중요한 거였죠 140 00:11:34,811 --> 00:11:40,788 하지만 혼자서 비무장 지대를 따라 걸을 수 있었고 북한 병사들이 저를 응시하고 있을 땐 141 00:11:41,761 --> 00:11:48,448 즉, 만약 그들이 국제적 사고를 일으켜 저를 납치하고자 했다면 딱 알맞은 장소였던 거죠 142 00:11:48,472 --> 00:11:51,455 하지만 정말 솔직히 한 번도 두렵거나 한 적은 없어요 143 00:11:51,479 --> 00:11:59,611 그래도 한 번이라도 약간 위험하다고 느꼈던 때가 있지 않나요 144 00:11:59,635 --> 00:12:02,527 아니라고 한다면 그냥 개인적인 의견인가요 145 00:12:02,551 --> 00:12:07,281 - 아니면 정말 위험하지 않은 건가요? - 그것이 저의 업무와 근무일의 실체입니다 146 00:12:07,305 --> 00:12:08,182 네, 그렇군요 147 00:12:08,206 --> 00:12:14,356 다른 건요? 우린 보초도 섰죠 148 00:12:14,380 --> 00:12:25,632 김정은으로 정권이 바뀔 때 그리고 그가 로켓을 발사할 때에도 거기 있었어요 149 00:12:27,311 --> 00:12:33,774 그럼 임무 중 가장 기쁘거나 뿌듯했던 순간이 있으신가요? 150 00:12:36,920 --> 00:12:50,891 보통 스위스, 스웨덴, 미국 그리고 한국의 고위급 장교 회의를 마칠 때 그랬어요 151 00:12:50,915 --> 00:12:54,595 뭔가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냈죠 152 00:12:55,945 --> 00:13:01,686 특히 우리가 거기로 들어가 의견이 충돌하면 특정 방향으로 나아가죠 153 00:13:01,710 --> 00:13:06,674 즉, 제가 일을 마무리 하고 있다는 걸 의미했죠 154 00:13:08,542 --> 00:13:10,378 훌륭하신데요 155 00:13:10,402 --> 00:13:18,571 이와 같이 훌륭한 업무 즉 한국에서의 복무가 선생님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156 00:13:21,181 --> 00:13:28,116 개인적으로 다른 문화를 경험하고 이런 새로운 문화를 배우고 157 00:13:28,309 --> 00:13:34,246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거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158 00:13:34,271 --> 00:13:36,541 왜 그렇게 행동하는 지에 대해 배우게 된 것이죠 159 00:13:36,565 --> 00:13:41,196 저의 군 복무 또는 한국에 제공했던 것을 통해 160 00:13:41,221 --> 00:13:43,398 저는 말 그대로 사슬의 또 다른 연결 고리와 같은 역할을 한 겁니다 161 00:13:43,422 --> 00:13:49,291 제가 떠나온 후 후임자가 계속해서 제가 담당했던 일을 하고 있어요 162 00:13:49,316 --> 00:13:54,360 결국 전체적인 맥락 속 일부였다는 것을 아는 것이 좋아요 163 00:13:55,870 --> 00:14:01,662 미국으로 돌아가신 후에 한국에 다시 오신 적이 있나요? 164 00:14:02,123 --> 00:14:05,333 한국에 돌아갈 기회는 없었어요 165 00:14:05,357 --> 00:14:11,772 그래도 언젠가 기회가 생기면 다시 한국에 갈 수 있을 거란 166 00:14:11,796 --> 00:14:18,425 희망을 가지고 샌디에이고에서 한국어를 계속 공부하고 있어요

구술자정보

목록
구술자
Nicholas Mararac
한글명
니콜라스 매러랙
국가
미국
생년월일
19830707
소속 및 직위
군종
해군
주요활동
서비스 전쟁 장교, 유엔 연락 장교
전투명
휴전 협정
군복무위치
공동경비구역, 비무장지대(DMZ)

구술정보

면담자 소속 및 직위
구술장소
구술요약
니콜라스 매러랙은 1983년 7월 7일 워싱턴 D.C.에서 태어났습니다. 미국 해군 학교에 다녔고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캘리포니아에 있는 국방 언어 학교에 다녔습니다. 2007년에 해군 대위로 임명되어 복무했으며 수상전 장교 훈련을 받았습니다. 2014년 건강상의 문제로 해군에서 은퇴했습니다. 한국에 있는 동안 유엔 연락 장교로 복무하면서 휴전 협정 준수 여부를 감독했습니다. 한국어 공부를 계속 하고 있으며 다시 한 번 한국에서 지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