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 유엔참전용사 디지털 아카이브

인터뷰

인터뷰 아카이브

유엔참전용사 Hong Berm Hur 구술

[1회차]

영상 로딩중 입니다.

자막

1 00:00:04,967 --> 00:00:12,990 저는 1961년 충청도에서 태어났습니다 2 00:00:13,014 --> 00:00:15,156 대전 근처였죠 3 00:00:15,181 --> 00:00:24,064 1980년에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했습니다 4 00:00:24,088 --> 00:00:26,235 1984년에 졸업했고요 5 00:00:26,930 --> 00:00:32,304 11년간 함선을 탔고 6 00:00:32,328 --> 00:00:38,320 마침내 하와이에 오게 되었죠 7 00:00:38,345 --> 00:00:42,539 여기에서의 업무는 영예로운 일이었죠 8 00:00:42,563 --> 00:00:49,757 군 장교로서 일종의 외교 업무를 맡았어요 9 00:00:49,782 --> 00:00:51,917 그래서 정말 행복했습니다 10 00:00:51,941 --> 00:01:01,816 이 일을 통해 한 교수님이나 하와이의 의장이신 허버드 슈리너 선생님과 같이 11 00:01:01,840 --> 00:01:08,023 중요한 분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 중 하나죠 12 00:01:08,047 --> 00:01:14,125 하와이에서 이렇게 소중한 분들과 함께 일할 수 있게 되어 정말 행복합니다 13 00:01:14,149 --> 00:01:17,475 하와이는 우리에게 있어서 완벽한 곳입니다 14 00:01:17,499 --> 00:01:24,022 여기에는 400명 이상의 6·25전쟁 참전용사들이 아직 생존해 계시죠 15 00:01:24,046 --> 00:01:25,226 - 생존하신 분들이요? - 네 16 00:01:25,250 --> 00:01:29,077 이 섬에만 150분 정도 계시고 17 00:01:29,101 --> 00:01:31,546 빅 아일랜드에 50분 이상 18 00:01:31,570 --> 00:01:39,554 그리고 카우아이와 마우이에도 대략 그 정도의 6·25전쟁 참전 용사분들이 생존해 계세요 19 00:01:39,578 --> 00:01:46,808 그들의 배우자와 가족들까지 합치면 6·25전쟁에 관한 20 00:01:46,832 --> 00:01:52,638 산 증인으로는 400분 이상 계신거죠 21 00:01:52,663 --> 00:01:59,514 많은 분들이 생생한 체험기를 가지고 계시죠 22 00:01:59,538 --> 00:02:05,699 닉 니시모토 선생님 같은 경우 전쟁 포로로 억류되어 23 00:02:05,723 --> 00:02:12,799 중국군 포로수용소 기지에서 1년 이상 지내면서 24 00:02:12,823 --> 00:02:16,826 무엇을 어떻게 하셨는지와 그 곳에서 도망쳐 나온 이야기까지 해주셨어요 25 00:02:16,850 --> 00:02:18,960 아직 살아계시고요 26 00:02:19,435 --> 00:02:22,230 여기에 정말 놀라운 이야기가 있어요 27 00:02:22,254 --> 00:02:31,506 오랫동안 담당해 온 업무 중 하나가 여기 계신 한국 참전용사분들을 챙겨드리는 겁니다 28 00:02:31,530 --> 00:02:34,670 그분들을 뵐 때마다 29 00:02:34,694 --> 00:02:47,171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을 대신해 진심으로 감사 인사를 드리는 이유는 이겁니다 30 00:02:47,195 --> 00:02:55,191 6·25전쟁 참전용사 분들 대다수가 당시 한국이 어디에 있는지 31 00:02:55,215 --> 00:02:59,534 어떤 나라인지조차 몰랐지만 32 00:02:59,558 --> 00:03:05,440 정부의 명령에 따라 한국으로 가서 싸웠던 거죠 33 00:03:05,464 --> 00:03:12,614 근데 돌아왔을 땐 실제로 미국인들의 환대를 받지도 못하셨고요 34 00:03:12,638 --> 00:03:15,850 미국인을 위해 싸운 게 아니었으니까요 35 00:03:15,874 --> 00:03:22,923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 싸운 것도 아니었어요 36 00:03:22,947 --> 00:03:29,263 그리고 미국 정부는 이미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긴 전쟁으로 인해 지친 상태였고요 37 00:03:29,287 --> 00:03:31,399 맞습니다 38 00:03:31,423 --> 00:03:39,007 그래서 6·25전쟁 참전용사 재단을 통해 모임이 점점 더 활성화되고 있잖아요 39 00:03:39,031 --> 00:03:41,788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어요 40 00:03:41,812 --> 00:03:49,117 시간이 갈수록 참전용사분들의 수가 감소해야 하는 거잖아요 41 00:03:49,142 --> 00:03:51,652 돌아가시는 분들이 있다보니까요 42 00:03:51,676 --> 00:03:53,350 - 그렇죠 - 하지만 실제로는 아니잖아요 43 00:03:53,375 --> 00:03:55,256 아니죠, 그게 참 신기하죠 44 00:03:55,280 --> 00:03:58,793 그러니까요, 재단 회원이 아닌 분들이 계셨던 거죠 45 00:03:58,817 --> 00:04:00,161 아니면 비활동 회원이셨고요 46 00:04:00,185 --> 00:04:04,499 비활동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재단 활동에 참여하면서 47 00:04:04,523 --> 00:04:08,522 마치 전체 수가 줄어들지 않은 것처럼 된거죠 48 00:04:08,546 --> 00:04:17,912 미군 부대의 도움이 없었으면 오늘날의 자유를 지키지 못했을 겁니다 49 00:04:17,936 --> 00:04:19,447 그건 분명하죠 50 00:04:19,471 --> 00:04:24,186 그리고 6·25전쟁 당시 51 00:04:24,210 --> 00:04:32,464 미 육군, 해군 그리고 공군 그리고 해병대까지 52 00:04:32,488 --> 00:04:37,332 모두 함께 싸워 한국군은 미군을 전적으로 신뢰했어요 53 00:04:37,356 --> 00:04:42,570 미국 사람들과 정부까지도 말이죠 54 00:04:42,594 --> 00:04:49,151 그래서 그 당시 한국 정부와 한국군 세대 55 00:04:49,175 --> 00:05:00,146 그리고 현재 정부와 군 지휘자들 역시 미군과 미국 정부에 대해 강한 신뢰를 가지고 있죠 56 00:05:00,170 --> 00:05:08,963 그래서 저는 60년 전 헌신과 희생을 보여주신 6·25전쟁 참전용사분들이 57 00:05:08,987 --> 00:05:14,472 오늘날 양국간의 탄탄한 유대 관계의 기초가 되었음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58 00:05:14,496 --> 00:05:22,294 그 중 한 분은 평화 훈장의 평화 대사로서 59 00:05:22,318 --> 00:05:30,268 60년 전 한반도의 평화 대사로서 이룬 그들의 업적을 기리는 거죠 60 00:05:30,292 --> 00:05:35,760 제 기억에 그것이 가장 의미있는 행사였고 61 00:05:35,785 --> 00:05:41,820 우리 6·25전쟁 참전용사분들도 그렇다고 하셨어요 62 00:05:41,844 --> 00:05:45,433 한국 정부에 감사해하시며 63 00:05:45,457 --> 00:05:51,493 참전 용사분들은 유럽 국가를 빗대어 말씀하셨어요 64 00:05:51,517 --> 00:05:54,175 제2차 세계대전에서 싸웠고 65 00:05:54,199 --> 00:05:56,845 많은 사람들이 유럽 국가에서 싸웠지만 66 00:05:56,869 --> 00:05:59,848 고맙다는 말 한마디 한 적 없다고 말이죠 67 00:05:59,872 --> 00:06:08,188 제가 인터뷰 했던 참전용사분들께 들었던 얘기가 바로 그거였죠 68 00:06:08,608 --> 00:06:10,507 한 가지 더 있어요 69 00:06:10,531 --> 00:06:16,664 한국 정부 사이트를 보면 남북한이 여전히 분리되어 있잖아요 70 00:06:16,688 --> 00:06:20,068 정말 다르죠 71 00:06:20,096 --> 00:06:30,227 북한을 바라보며 만약 6·25전쟁에서 자유를 잃었다면 대한민국은 어떻게 됐을 지 상상해 볼 수 있죠 72 00:06:30,252 --> 00:06:36,563 현재 북한의 실태와 다르지 않겠죠 73 00:06:36,588 --> 00:06:39,988 하와이에 있는 참전용사분들과 모임을 가지는데 74 00:06:40,012 --> 00:06:49,651 제게 당시 6·25전쟁에 관한 아주 재밌는 얘기를 해주셨어요 75 00:06:49,695 --> 00:07:00,572 그래서 어떻게든 그런 이야기들을 공식적인 기록으로 간직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76 00:07:00,597 --> 00:07:09,617 그들의 이야기를 책 등으로 출판하려고 시도해 봤죠 77 00:07:09,641 --> 00:07:15,126 근데 두 가지 생각이 들더군요 78 00:07:15,150 --> 00:07:22,205 우선 저작권 문제와 그 다음은 정확도 문제였어요 79 00:07:22,230 --> 00:07:25,767 그들의 기억이 가물해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거든요 80 00:07:25,791 --> 00:07:29,479 그들이 진실을 얘기하지 않을 수도 있는거죠 81 00:07:29,504 --> 00:07:32,573 오래 전 기억의 실종 때문이죠 82 00:07:32,597 --> 00:07:36,805 그러니까 정말 오래 전 일이잖아요, 그렇죠? 기억하기가 쉽지 않죠 83 00:07:36,829 --> 00:07:41,809 그들의 젊은 시절 싸우던 곳이 어딘지도 모르고 84 00:07:41,834 --> 00:07:45,320 그 이름도 모르고 외국이었으니까요 85 00:07:45,344 --> 00:07:46,510 이해하죠 86 00:07:46,534 --> 00:07:54,929 그런데 교수님이 여기에서 하고 계신 일이나 인터뷰 등을 촬영하는 건 아무 문제 없죠 87 00:07:54,953 --> 00:07:58,032 제가 생각했던 그런 문제와는 상관이 없어요 88 00:07:58,056 --> 00:08:03,762 정말 훌륭하고 합당한 일을 하고 계신 겁니다 89 00:08:03,786 --> 00:08:07,434 한 교수님께 정말 감사드려요 90 00:08:07,459 --> 00:08:15,961 모든 6·25전쟁 참전용사들의 기록을 남길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수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91 00:08:15,985 --> 00:08:24,989 그들의 육성으로 남긴 이야기를 한 데 웹사이트에 모으는 거죠 92 00:08:25,013 --> 00:08:32,328 그거야 말로 그런 이야기를 간직할 수 있는 강력하고 확실한 방법이죠 93 00:08:32,352 --> 00:08:33,186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구술자정보

목록
구술자
Hong Berm Hur
한글명
허홍범
국가
미국
생년월일
미상
소속 및 직위
군종
해군
주요활동
해군 항공 기술자
전투명
군복무위치
하와이

구술정보

면담자 소속 및 직위
구술장소
구술요약
허홍범은 1961년 충청도에서 태어났습니다. 1984년 대한민국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했고 11년간 함선에서 복무하다가 하와이의 해군 항공 기술자가 되어 현재 복무 중입니다. 한국전 참전용사의 유업을 보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수백명에 달하는 한국전 참전용사들이 하와이 제도에 살고 있고 우리가 알아야 할 그들의 전투 중 경험담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참전용사 중 한 분이 전쟁 중 포로로 인민군 포로 수용소에 1년 넘게 있다가 탈출한 이야기도 전하고 있습니다. 당시 정부로부터 참전하게 될 나라의 배경 지식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고 그 나라의 상황과 사람들에 대한 정보도 없이 소환되어 희생했던 참전용사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뜻을 전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과의 지속적인 동맹관계는 참전용사들의 헌신 덕분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