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6ㆍ25 연표
-
1948
- 2월 8일
- 북한 조선인민군 창설 선포
- 4월 3일
- 제주도 4.3사건
- 5월 10일
- 남한 유엔 한위 감시하의 총선거 실시
-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수립
- 8월 16일
- 국방경비대를 국군으로 명명
- 9월 9일
-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10월 19일
- 여순10.19사건
- 11월 2일
- 대구반란사건
-
1949
- 3월 5일
- 김일성-스탈린 회담
- 3월 17일
- 조·소 군사, 경제, 문화협정 체결
- 4월 28일
- 김일성-모택동 회담
- 6월 29일
- 주한미군 철수 완료
북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 7월 1일
- 주한 미 군사고문단 설치
- 10월 1일
- 중공 중국인민공화국 수립
- 12월 16일
- 모택동-스탈린
-
1950
- 1월 12일
- 미 애치슨 국무장관, 태평양방위선 연설
- 1월 26일
-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체결
- 4월 5일
- 김일성-스탈린 비밀회담
- 5월 13일
- 김일성-모택동 회담
- 5월 29일
- 북한 남침선제타격계획 완성
- 5월 30일
- 국회의원 선거
- 6월 8일
- 북한 위장 평화공세 전개
- 6월 12일
- 북한군 전투부대 38선 부근으로 이동
- 6월 17일
- 덜레스 미 대통령 고문 방한
- 6월 22일
- 북한군 남침정찰명령 하달
- 6월 23일
- 국군 비상경계 해제
- 6월 25일
- 북한군 전면 남침
- 6월 26일
-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북한군 공격중지와 철수권고 결의
- 6월 27일
- 정부, 대전으로 이동
미 제7함대, 대만해협 봉쇄 결정
- 6월 28일
- 유엔안전보장이사회, 한국 군사지원 결의안 채택
북한군 서울점령
- 6월 29일
- 맥아더 원수 한강방어선 시찰
- 6월 30일
- 미 지상군 투입결정
정일권 소장, 국군 육해공군총사령관 겸 육군총참모장 임명
- 7월 1일
- 미 지상군 선발대, 부산 도착
- 7월 5일
- 미 스미스부대 오산 죽미령에서 최초 전투 국군 제1군
- 7월 7일
- 유엔안보리 유엔통합군사령부 설치 결의
- 7월 8일
- 정부, 전국 비상계엄 선포
(전라남북 제외)
- 7월 14일
- 국군 작전지휘권 유엔군총사령관에게 이양
- 7월 16일
- 정부, 대전에서 대구로 이동
- 8월 1일
- 낙동강 방어선 형성
- 8월 18일
- 정부, 대구에서 부산으로 이동
- 9월 15일
- 인천상륙작전
- 9월 23일
- 김일성, 북한군 총 후퇴 명령 하달
- 9월 27일
- 9.27훈령 하달
- 9월 29일
- 수도 환도식 거행 (중앙청)
- 10월 2일
- 중공 외상 주은래 중공군 개입 경고
- 10월 9일
- 유엔군 북진작전 개시
- 10월 15일
- 웨이크 섬 회담
- 10월 19일
- 평양탈환
- 10월 25일
- 중공군 참전
- 10월 30일
- 평양시민 환영대회
- 11월 30일
- 유엔군 전면 철수
- 12월 14일
- 원산, 흥남철수 작전
- 12월 23일
- 미 제8군사령관 워커 중장 전사
- 12월 26일
- 신임 미 제8군사령관 리지웨이 장군 부임
- 12월 31일
- 중공군 제3차 공세 (신정공세)
-
1951
- 1월 4일
- 유엔군 서울 철수 (1·4후퇴)
- 1월 17일
- 정부, 정전안 반대
- 2월 1일
- 유엔총회 중공을 침략자로 결의
- 2월 12일
- 거창사건
- 3월 15일
- 서울 재탈환
- 4월 12일
- 맥아더 장군 해임
리지웨이 장군 임명
- 5월 7일
- 신성모 국방장관 퇴임
이기붕 장관 취임
- 5월 12일
- 국민방위군 설치법 폐지
- 6월 1일
- 유엔 사무총장, 38도선에서 휴전성명 발표
- 6월 23일
- 이종찬 소장 육군총참모장 취임
- 6월 30일
- 리지웨이 사령관, 휴전회담 제의
- 7월 1일
- 공산군, 휴전회담 수락
- 7월 10일
- 휴전회담 개성에서 개막
- 9월 5일
- 미 제2사단 피의 능선 점령
- 10월 13일
- 미 제2사단 단장의 능선 점령
- 10월 25일
- 휴전회담 판문점에서 재개
-
1952
- 1월 30일
- 육군사관학교 개교
- 2월 18일
-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
- 2월 24일
- 공산군, 미군 세균전 살포 조작 및 비난
- 3월 29일
- 국방장관 신태영 임명
- 4월 28일
- 유엔군, 일괄타결안 제의
- 5월 7일
- 거제도 포로수용소 돗드소장 피랍
- 5월 9일
- 유엔군사령관 클라크 대장 부임
- 5월 20일
- 거제도 포로 폭동
- 6월 21일
- 유엔군, 포로 강제송환 강력 반대
- 7월 23일
- 백선엽 중장, 육군참모총장 취임
- 8월 5일
- 정부통령 선거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 당선)
- 9월 28일
- 유엔군, 포로의제 선택적 제안
- 10월 6일
- 한국군 제9사단, 백마고지 전투
- 12월 2일
- 미 대통령당선자 아이젠하워 서울 도착
-
1953
- 1월 20일
- 미 아이젠하워 대통령 취임
- 2월 11일
- 밴플리트 후임으로 테일러 중장 부임
- 3월 4일
- 이승만 대통령, 클라크, 테일러 회동
- 3월 5일
- 스탈린 사망
- 3월 28일
- 공산군, 상병포로교환 제의 수락
- 4월 20일
- 상병포로 교환 개시
- 5월 25일
- 한국대표, 회담 불참 선언
- 5월 30일
- 미국 에버레디계획 확정
- 6월 18일
- 이 대통령, 반공포로 석방
- 6월 26일
- 이승만-로버트슨 회담
- 6월 30일
- 국방부장관 손원일 임명
- 7월 13일
- 중공군 최후공세 개시
- 7월 27일
- 휴전협정 조인
(클라크 문산에서, 김일성 평양에서 각각 서명)
출처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pp.598~605.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6, pp.657~664.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하)>, 1997, pp.665~672.